- 0
- taikun
- 조회 수 6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 기조연설에서 AI의 진화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황은 "AI가 단순히 디지털 세계에 머무르지 않고 현실 세계로 확장될 것"이라며, AI 발전의 흐름을 인식형 AI(perception AI), 생성형 AI(generative AI), 에이전트 AI(Agentic AI)를 거쳐, 궁극적으로 물리적 AI(physical AI)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설명했습니다.
물리적 AI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AI와 달리,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 작동하며 센서, 액추에이터, 로봇 공학 기술 등을 활용해 환경을 인식하고 상호작용하는 AI 시스템(지능형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는 로봇, 자율주행차, 드론 등과 같은 시스템을 포함합니다.
황은 엔비디아가 GPU와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해 이러한 물리적 AI의 두뇌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로봇, 자율주행차, 물류·제조 자동화 시스템 등에서 물리적 AI가 활용될 것이며, 이는 단순 반복 작업을 넘어 복잡한 환경에서도 자율적 행동이 가능한 새로운 시대를 열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미지: 젠슨 황 'AI 4단계 진화' / 이미지 출처: 엔비디아)
AI의 흐름은 이제 생성형 AI 단계를 넘어 에이전틱 AI와 물리적 AI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빠른 진화는 제조, 물류, 헬스케어 등 여러 산업에 혁신을 가져오며, 장기적으로는 로봇 분야와 관련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을 더욱 높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 로봇 기업에 투자하는 미국 ETF 3선
물리적 AI 시대를 앞두고 투자자들의 관심은 이미 로보틱스 분야로 쏠리고 있습니다. 특히 BOTZ, ARKQ, ROBO는 대표적인 로봇 관련 ETF로, 올해 들어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꾸준한 주목을 받을 가능성도 높아 보입니다.
이 세 ETF 모두 로보틱스 분야에 폭넓게 투자하고 있지만, 구성 종목이나 운용 보수 등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꼼꼼히 비교해 본 후 신중하게 투자에 나서시길 권합니다.
1. BOTZ - Global X Robo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TF (25.9/22 기준)
- 국가: 미국
- 발행사: Global X
- 설정일: 2016.9/12
- 기초지수: Indxx Global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Thematic Index
- 운용자산(AUM): $2.94B
- 총 보유 종목 수: 56개
- 연 운용보수: 0.68%
- 투자위험: 높음(2등급)
* 로보틱스 및 인공지능 산업에 집중 투자
* 산업용 로봇, 자동화 장비, AI 반도체, 의료 로봇 기업 포함
* 글로벌 제조업 자동화 트렌드와 AI 기술 발전에 영향을 받음
2. ARKQ - ARK Autonomous Technology & Robotics ETF (25.9/22 기준)
- 국가: 미국
- 발행사: ARK
- 설정일: 2014.9/30
- 기초지수: 없음, 액티브 운용(지수를 추종하지 않고 운용사 자체 리서치를 통해 종목 선정)
- 운용자산(AUM): $1.42B
- 총 보유 종목 수: 36개
- 연 운용보수: 0.75%
- 투자위험: 매우높음(1등급)
* 자율 기술(autonomous tech) 및 로보틱스 산업에 집중 투자
* 자율주행, 드론·군사용 로봇, AI 플랫폼, 무인 탐사/탐지 기술, 항공·우주 관련 기술 기업 포함
* 기술 혁신, 제품 개발 속도, 규제 환경 변화,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등에 민감함
3. ROBO - ROBO Global Robotics and Automation Index ETF (25.9/22 기준)
- 국가: 미국
- 발행사: Exchange Traded Concepts, LLC
- 설정일: 2013.10/22
- 기초지수: ROBO Global Robotics and Automation TR Index
- 운용자산(AUM): $1.16B
- 총 보유 종목 수: 88개
- 연 운용보수: 0.95%
- 투자위험: 2등급(높음)
* 로보틱스·자동화·AI 연관 전반적 기술 산업에 글로벌하게 투자
* 산업용 자동화, 센서·제어 시스템, 물류·창고 자동화, 반도체 제어장비, 로봇 구성 요소 기업 포함
* 글로벌 공급망, 기술 혁신 및 효율, 무역 환경, 환율, 글로벌 수급 상황 변화 등에 민감함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https://itooza.com/newslist/e/18